경기항공고 vs 덕수고 2025 제80회 청룡기 고교야구대회 4강 중계 시청하기

2025년 7월 10일 오후 5:00, 서울 목동야구장에서 펼쳐질 제80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 4강전, 경기항공고와 덕수고의 맞대결은 올 여름 고교야구 최고의 하이라이트로 손꼽힙니다. 각 팀의 에이스와 주축 선수들이 총출동해 뜨거운 승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경기항공고 vs 덕수고 경기전망 ▶ 경기항공고 야구부 경기항공고는 2017년 창단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올해 드디어 청룡기 첫 4강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특히 8강전에서 강호 경남고를 4-3으로 꺾으며 저력을 과시했는데, 3학년 우완 에이스 양우진이 8과 3분의 1이닝 동안 8탈삼진 무실점 역투를 펼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최고 구속 150km/h의 강속구와 낙차 큰 슬라이더를 앞세운 양우진의 투구는 프로 스카우트들 사이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타선에서는 8회초 2사 만루에서 터진 한동연의 3타점 싹쓸이 3루타가 결정적이었습니다. 경기항공고는 투타의 조화와 끈끈한 팀워크를 자랑하는 신흥 야구 명문입니다. ▶ 덕수고 야구부 덕수고는 오랜 전통과 우승 경험을 자랑하는 서울의 대표 야구 명문입니다. 이번 대회에서도 경기고를 꺾고 16강에 진출하는 등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유격수에서 투수로' 변신한 엄준상이 7.1이닝 5탈삼진 무실점 호투를 펼치며 팀의 마운드를 든든히 지키고 있습니다. 덕수고는 매년 강력한 신인 선수들을 배출하며, 탄탄한 수비와 빠른 주루 플레이, 집중력 있는 타격으로 상대를 압박하는 전통의 강팀입니다. ▶ 경기 전망 이번 4강전은 신흥 강호와 전통 강호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경기항공고는 양우진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투수진과, 위기에서 집중력을 발휘하는 타선이 강점입니다. 특히 8강에서 보여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뒷심은 상대에게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덕수고...

2025 최저임금 시급, 월급 얼마나 오를까? 계산법 총정리

2025년, 대한민국은 최저임금 1만원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은 1988년 최저임금제도 도입 이후 37년 만에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선 금액입니다. 이는 2024년 대비 170원(1.7%) 인상된 것으로, 근로자들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의 상세 내용과 그에 따른 월급, 연봉 변화, 그리고 관련 계산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n


2025년 최저임금 주요 변경사항

최저임금위원회는 2025년 최저시급을 10,03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2024년 대비 170원(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이번 인상으로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서게 되었습니다.

◎ 주요 변경 내용:

  • 시급: 10,030원 (2024년 9,860원에서 170원 인상) 
  • 인상률: 1.7%
  • 적용 기간: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고용노동부-2025-시간급-지침

월급 및 연봉 계산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월급 계산 (주 40시간 근무 기준):

  • 월 근로시간: 209시간 (주휴시간 포함)
  • 월 급여: 2,096,270원 (209시간 × 10,030원)

◎ 연봉 계산:

  • 연봉: 25,155,240원 (2,096,270원 × 12개월)2 

◎ 실수령액 예상:

  •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을 공제하면 실제 수령액은 약 200만원 선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저임금-계산기
알바-급여-계산기

주휴수당 포함 시급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은 12,036원입니다. 이는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으로, 주휴수당의 영향을 고려한 것입니다.


최저임금 적용 대상

최저임금은 1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다만, 몇 가지 예외 사항이 있습니다.

  • 수습 기간: 1년 이상의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수습 기간(최초 3개월) 동안에는 최저임금의 90%만 지급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영향 받는 근로자 수

2025년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는 근로자 수는 다음과 같이 추정됩니다.

  •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준: 약 479,000명 (영향률 2.8%) 
  •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기준: 약 3,011,000명 (영향률 13.7%)


최근 5년간 최저임금 추이

최근 5년간의 최저임금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1년: 8,720원 (1.5% 인상)
  • 2022년: 9,160원 (5.05% 인상)
  • 2023년: 9,620원 (5.0% 인상)
  • 2024년: 9,860원 (2.5% 인상)
  • 2025년: 10,030원 (1.7% 인상)

2025년의 인상률 1.7%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1.5%)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최저임금 관련 법령 및 제도

최저임금은 다양한 법령과 제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저임금과 연동된 관계 법령은 26개, 연동된 제도는 48개에 달합니다.

◎ 주요 영향 받는 제도:

  1. 실업급여: 실업급여의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책정됩니다.
  2. 육아휴직급여: 고용보험법에 따라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습니다.
  3. 고용촉진장려금: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조정됩니다.
  4. 산업재해보상: 보험금, 휴업급여, 상병보상연금, 직업훈련 수당 등이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이 외에도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조세특례제한법, 직업안정법 등 다양한 법령에서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위반여부-확인-방법

사업주의 준비사항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사업주들은 다음 사항들을 점검해야 합니다.

  1. 근로계약서 갱신
  2. 임금명세서 수정
  3. 가산근로수당 계산 방식 조정
  4. 야간수당 및 휴일근로수당 재계산

이러한 준비를 통해 법적 문제를 예방하고 근로자들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인상은 1만원 시대를 여는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비록 인상률은 낮지만, 많은 근로자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사업주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적절히 대응하고, 근로자들은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저임금 인상은 단순히 숫자의 변화가 아닌, 우리 사회의 경제적 형평성과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를 통해 더 나은 근로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2025-최저임금-시급-월급-계산법